Web

webhook.site를 통해 웹훅 테스트하기

웹훅이란? 일반적으로 요청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보내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내는 구조로 되어있다. (요청-응답 구조) 일반적으로 비주기적으로 일어나는 사용자의 행동을 알려주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예컨데 알림 서버와 회원 서버가 분리되어 있는 MSA 구조라고 할 때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가입을 하면 가입을 알리는 메일을 보내는 것과 같은 경우이다. graph TD; 사용자 -->|가입| 회원서버; 회원서버 -->|가입 웹훅| 메일서버;사실 엄청나게 큰 기능은 아니고, 일반적인 요청과 크게 다를 것은 없다. 서버에서 특정 이벤트가 생겼을 때 특정 서버나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을 보낸다고 알고 있으면 된다.

더보기 →

2025년 4월 8일

API 서버 관점에서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Event Driven Architecture)를 알아보자

간혹 개발을 하다 보면, API 응답이 느릴 때가 있다. 이런 경우, API의 응답을 빠르게 하기 위해 코드를 최적화하거나, 캐시를 적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런 방법들은 된다면 좋은 방법이고, 최선이겠지만, 때로는 어쩔 수 없이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들이 있다. AWS로 예를 들어보자, 특정 API가 있고, EC2 머신을 하나 띄우는 API가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 EC2 머신을 띄우는 API는 시간이 꽤 걸리는 작업이다. 근데 코드 최적화 만으로 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까?

더보기 →

2025년 1월 24일

REST?, RESTful?, REST API? 가 도대체 뭐야?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웹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REST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REST는 로이 필딩(Roy Fielding)이라는 사람에 의해 2000년에 박사 논문에서 소개되었다고 합니다. REST는 Representation State Transfer의 약자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쳐의 한 형식입니다. 하이퍼 미디어(Hyper Media)?모르는 단어가 나왔죠? 하이퍼 미디어는 뭘까요? 하이퍼 미디어란 텍스트, 도형, 애니메이션 및 비디오 화상 등 복수의 정보를 노드와 링크로 유기적으로 연결한 네트워크 그물망 구조를 뜻합니다. 링크 기능을 이용하여 정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차례로 끌어내는 식으로 관련 정보를 대화식으로 끌어낼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정보가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핵심이에요!

더보기 →

2022년 2월 28일

MVC에 대해 알아보자

MVC는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입니다.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다양한 방법론 중 하나로 구성요소를 3가지로 나눈 대표적인 패턴입니다 웹 프레임워크로 유명한 Spring Framework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소소한 차이가 있으나, 다양한 웹 프레임워크가 비슷한 패턴을 취하고 있습니다. 다른 프레임워크는 뭐가 있는데? 비슷한 패턴으로는 MVT패턴이 있습니다. 파이썬 기반 프레임워크 Django에서 사용하는 구성패턴으로 Model, View, Template의 약자입니다. 각자 역할은 MVC패턴과 거의 일치하나, 매칭되는 기준이 다릅니다. MVC와 MVT의 차이

더보기 →

2022년 2월 22일